연기는 XX력을 향상시켜야 는다.
- 집중력(나머지를 향상시키는 제 1 능력이다)
- 분석력(책 좀 읽어야겠지? 질문도 유별나야하고)
- 표현력(과감해야 한다, 틀리는 거 두려워 말고)
- 감성력(조금은 타고난건데 문제는 컨트롤이겠지)
- 순발력(준비가 남아돌아야 그나마.....)
- 상상력(창의력과 깊은 관계가 있다)
- 관찰력(자기자신부터 관찰해야 한다, 타인은 물론)
집중력/감성력/표현력/순발력/분석력/관찰력/ 상상력
배우는 물론이고 예술을 전공하는 자들이라면 반드시 향상시켜야 할 능력들이다. 김태용연극교실 첫날 말미에 잠시 가졌던 이론 수업을 공유해볼까 한다.
1) 집중력 : 일종의 멘탈에 관한 얘기다. 연기라는 게 본능에 반하는 행위이다보니 끊임없이 도망가게 만든다. 대사는 하고 있지만 순간순간 도망간다. 연기가 늘지 않는 첫번째 원인이다.
2) 감성력 : 일종의 마음인데, 감성 뿐 아니라 이성 능력도 포함된다. 이 능력은 주로 독서, 영화, 만화, 클래식, 미술 등에 의해 향상되는데, 특히 오타쿠성이 짙으면 강렬하게 터득된다.
3) 표현력 : 재료를 잔뜩 만들어야 한다. 평상시의 말과 행동이 스펙터클하지 않은데, 무대나 매체에서 강렬하게 작동할 확률은 지극히 낮다. 훈련의 강도를 끊임없이 높여나가야 할 부분이다.
4) 순발력 : 인간이 일반적으로 떠올리고 판단하는 순간은 0.08초 기작이다. 말을 빨리하라는 얘기가 아니라 뇌의 속도를 강화하는 훈련이라 여기면 된다. 안세영이나 손흥민 등의 {순간 반응}과 맞닿아 있다.
5) 분석력 : 작품을 이해하는 능력이고, 집요하게 질문하고 또 질문하지 않으면 결코 터득될 수 없는 능력이다. 남에게 들은 분석은 연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자기의 확고한 판단이 객관성을 가질 때 완성되는 능력이다.
6) 관찰력 : 우리가 보는 세상의 90%는 모두 가짜다. 보고 있다고 여기고 듣고 있다고 느낄 뿐이다. 뇌의 기작이 그렇다. 확대경으로 봐야 하고, 초점 맞춰서 봐야 하고, 초집중 상태로 들어야 한다. 해보면 우리가 알고 있던 게 알고 있던 것이 아님을 어렵지 않게 깨닫게 된다.
7) 상상력 : 예술가의 덕목이다. 난제를 푸는데 있어 상상력만큼 효과적인 능력은 없다. 떠올리는 능력인데, 일단 재료가 풍요로워야 하고, 궁금해서 미칠 지경의 상황을 끊임없이 만들어내야 한다. 오타쿠성 삶이 주로 이를 가능케 한다. 일론 머스크, 피카소, 제레드 다이아몬드, 스티븐 잡스, 마이클 조단 등이 그랬다고 본다.
어떻게 하면 다른 분야에서 터득된 능력들을 연기 능력과 연결시킬 수 있을까?
표현력이 늘면 감성력도 배가 된다. 물론 순발력도 따라 늘고 관찰의 중요성도 인지하게 될 뿐더러 분석의 묘미도 깨닫게 된다. 이런 능력들은 양이 차면 자연스레 연결된다. 정점은 집중력이다.
집중력이 는다는 것은 하기 싫을 때도 버텨내는 능력과 다르지 않다. 일단 집중력이 늘면 속도가 만만찮아 진다. 수년 후 주변 친구들과 엄청 차이를 낸다. 이 얘기는 집중력 터득이 가장 어렵다는 말이다. 예로, 핸드폰 끄고 6시간 정도 책읽기가 가능하다면 집중력 대단한 거다. 매일 말이다.
연기 능력이라는 게 결국 터득하고 나면 하나로 여겨지겠지만 이렇게라도 쪼개지 않으면 좀체 훈련이 구체적이지 않더라. 대강 대강 수년을 보내고서는 "연기가 왜 안 늘지?" 하더라. 능력을 키워 나간 게 아니라 적당히 적응하는 수준으로 무대오르기를 반복했기 때문이다.
원래 가지고 있던 오타구 능력을 연기 능력과 만나게 하는 게 문제다.
수만이는 헬스, 상준이는 바둑, 민규는 롤, 병선이는 춤쟁이다. 어떻게 만나게 할 것인가? 시냅스의 연결고리를 어떻게 연기 능력 라인과 접촉하게 만들 것인가?
요즘 최대 화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