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인물과 의상을 중심으로-
제 1 수
1. 머리말
Commedia Dell'arte는 1550년경에 르네상스 이태리에서 시작되어 14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 이태리 전국은 물론 영국, 불란서, 스페인 등 구라파 전극에도 순회 공연되고 파급되었으며 연극사의 하나의 오랜 전통과 영향으로 남아있는 독특한 연극형태 이다.
"직업적인 배우들의 희극"으로 Commedia는 광장, 가두, 축제의 놀이마당이나 실, 내외를 막론하고 평소 잘 훈련된 직업적인 배우들에 의해서 공연되어졌다.
직업적인 희극의 의미는 대본에 의하지 않고 스토리의 줄거리나 주제의 요약만을 골자로 배우들의 기교적인 연기 술과 창의력에 의해서 즉흥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다른 연극공연 형태와 다른 양상이다.
연극사적 입장에서 보면 Commedia가 능란한 연기 술의 개발과, 일정한 인물들을 배우 자신들이 창조해 냈다고 하는데 그 가치를 부여할 수 있고 연극사적 큰 공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배우가 창조해 낸 인물이란 즉흥적인 대사와 무대상의 행동으로 배우 자신이 다듬고, 그 인물이 가지는 속성이라던가 의상 등 성격화에 따른 모든 필요한 것들을 배우 자신들이 준비한다. 그러므로 줄거리가 달라져도 같은 배우가 항상 같은 인물을 맡게 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겠다. Commedia의 인물은 남자 7명 여자 3명으로 보통 10명 내지 12명의 구성원으로 하고 배우는 그가 맡은 인물과 의상을 입단하면서 결정해서 극단을 떠나거나 은퇴할 때까지 같은 역을 지속하는 것이 상례였다.
해를 거듭할수록 자신이 만든 대사의 전달과 동작에 있어서 그 자신만이 가지는 기발한 연기 스타일을 보여 주게 되며 세 인물은 새 배우가 입단했을 경우에만 개발시키는 것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Commedia의 인물과 의상에만 국한시켜 Commedia의 특수성을 연구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Commdia Dell'arte의 인물들
Pantalone
Pantalone은 그 시대 이태리 사람들로부터 그 희극적 성격이 잘 알려졌고 절찬을 받던 인물중의 하나이다.
그는 노쇠한 호색가로, 쉽게 속임을 당하는 아버지로 혹은 Plautus Aulularius에서 Euclion같은, 로마 희극 속에 나오는 남편 같은 인물이었다.
때론 그는 부정한 아내의 남편이기도 했고 젊은 여인의 나이 많은 남편으로 등장해서 수모와 속임수를 당하기도 했다. 그는 전형적인 베니스의 상인으로 욕심 많고, 무엇이든 제 손에 단단히 움켜 쥘려고는 하나 자신의 뜻과는 달리 잘 속아 넘어 가는 사람, 남의 말하기를 좋아하는 그런 유형의 인물이었다.
그는 헛된 사랑에 쉽게 휘말려 빠져들고 사랑에 재치를 보이지 못해 그의 아들이나 하인들로부터 어리석은 영감으로 따돌림을 받기도 한다.
그는 수전노이고 신경질적인 홀아비일 때도 있으나 언제나 가족을 거느린 가장이었다. 그가 가족을 거느렸을 때는 부인이 없으나 그 자식들이 늘 그를 괴롭히고, 어렵게 만드는 쪽이었다. Pantalone은 불평과 남용에 대한 리스트 가지고 다니면서 그의 고통을 장황하게 늘어놓기도 한다. 그는 혼자 나타나서 혼자말로 이렇게 중얼거릴 때도 있다.
Drat that Brighella! Rogue! Scoundrel! He has not only failed to purchase the chickens for my supper, but has brought home and prepared pork! He knows perfectly well I can't eat pork! Can't touch a mouthful! Teeth won't stand it! Watch! and that's another thing, the rascal! He should have fetched Florinda here, this very minute! Letting my wife room all over the town, at such an hour! He knows how to deal with him! Watch me! Hey! Ouch! Who did that! (at which point we will assume that Brighella, rascally subject of the denunciation, has slipped slyly onto the stage and administered a resounding kick to the old man from behind, then immediately disappeared. A moment later he will reappear to ask, indignantly, who has dared to molest his master.)
그는 Venice 근방의 사투리를 사용하며 Shakespeare의 Namlet에 나오는 Polonius같이 많은 명가나 금언을 즐겨 인용해 썼다. Pantalone의 성격은 Shakespearedml 희극이나 Moliere의 작품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유형의 인물이다.
Dottore
그는 Pantalone의 동반자로 그의 사랑편력에서의 어리석음은 Pantalone과 비슷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그는 해박한 인물이었다. 그의 해박함은 의사나 법률가, 점성가나 교수처럼 늘어놓지만 사실 그 자신의 내면적 세계는 두려움과 공포에 시달리고 남의 조소나 조롱에 항시 민감하다. 그의 많은 희극적 효과는 믿을 수 없고 잘 알지도 못하는 의학용어나 희귀한 남의 이름들을 막힘 없이 내뿜으며 정확하지 못한 라틴어와 사실을 항상 왜곡해서 늘어놓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는 Commedia에 등장하는 젊은 연인들 중에 여자 쪽의 아버지가 되며 그 자신의 나이보다 더 젊게 보이기를 항상 갈망하고 있다. 그는 또한 Bologna 지방의 사투리를 사용하며 Pantalone처럼 특수한 유형의 인물로 부각된다. 이러한 유형의 인물은 희랍시대 Arislophanes의 "The Clouds"에서 Socrates로, Plautus나 Terence의 극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ltalian Comedy에서 이런 유형의 인물은 거의 학자나 의사로 등장하는 것이 보통이다.
Capitano
A powerful voice with a nasal twang is heard in the wings, " Let me have my sword that I may pierce his diaphragam." The clang of swords announces the indomitable, bragging Spanish Captain.
그는 희극 화된 오만한 스페인 군인이며 여러 개의 상징적인 이름으로 그의 성격이 표현되는데 자주 "Captain Spavento of Vally of Hell"로 불리 운다. 거대한 이름처럼 실제에 있어서는 정반대의 인물이다, 그는 소심하고 겁쟁이, 허풍전이로 비유되나 Commedia의 중심인물이고 희극적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는 원래 이태리의 장교로 등장되었으나 차차 스페인 군주 같은 인물로 바뀌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당시 지루한 군, 소 전쟁을 통하여 외국용병에 대한 이태리 사람들의 원한에 기인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태리 사람들이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는 피지배자로 스페인 사람들을 추종해야 되는 위치에서 Capitano라는 인물로 묘사된 그들 지배자의 성격이나 행동을 보고 웃었다는 것은 아이러니컬하지만 그 당시로서는 당연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Commedia가 스페인에서 공연될 때는 Capitano는 항상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으며 그들 스페인 관객들을 즐겁게 해 주었다.
lnnamorato 와 lnnamorata
Commedia에서 이 연인들(Louers)은 다른 인물들에 비해 관심을 독차지하지는 못했다.
그들은 그 시대에 적합한 젊은이의 복장을 하고 세련된 젊은이의 행동과 모습을 보이려고 했다. 시인 Patrarch의 시집을 늘 한 손에 들고 등장했는데 그것은 당시 젊은 연인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경이었다. lnnamorato와 lnnamorata로 등장하는 배우들은 자신들의 실제 이름을 무대상의 등장 인물의 이름으로 불렀으며 지방 사투리를 쓰지 않고 표준어를 구사했다. 대개 한 쌍의 연인들이 등장하는 것이 보통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두 쌍, 세 쌍의 연인들이 등장할 수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lnnamorato는 Commedia에 등장하는 노인의 아들로 나오는데 남자 연인들은 부모에 의해서 그들의 사랑이 방해를 받거나, 여자를 사이에 두고 여자끼리 경쟁을 벌이거나 아니면 노인의 젊은 부인의 연인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Innamorata 의 경우도 Isabella, Felice, Adriana, Valerina, Laura 등 그 인물이 그 당시 유명했던 여배우들의 이름으로 불려졌는데 특히 Isabella의 경우 그녀는 그 당시 유명한 Capitano의 명배우였던 남편 Francisco Andreini와 함께 활약한 여배우로 관객들에게서 아낌없는 찬사와 인기를 독차지했다.
Innamorata 역시 Innamorato 처럼 상대적으로 잘 차려 입고 있으며 Commedia에 등장하는 노인의 딸로 등장했다. 무대상의 변화를 갖기 위해 가끔 고아나 과부를 대신 등장시키기도 했다.
The Seruning Maid ; Columbine
초창기의 Commedia에서는 음탕하고 추잡한 하녀로 등장했지만 점차 똑똑하고 재치가 있는 인물로 변했는데 곡선에 따라서는 모함과 음모에 가담하는 하녀로 Harleguin의 상대역으로, 여주인공의 막연한 친구(조언자)이자 이 간질 시키는 표지의 인물로 등장하는 것이 그 인물이 무대 상에 펼치는 성격상의 묘미이다.
The female character that stands out in bold relief when we read the scenarios... is that of Colombine Wrijers have her a manner of speech that was as unrestrained as her conduct.
Aa a sevant she was disinterested and unscrupulous.
Since she is more experienced in life than her mistress, we find her preaching vice to her with as much conviction as others preach virtue...
Zanni
그들은 남자하인들로서 주인들에게는 믿을 수 있는 인물이어야 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일은 주인과 관객을 즐겁게 해 주는 어릿광대의 역할이었다.
Zanni로서의 Arlecchino (뒤에 Harleguin)도 초창기엔 단순히 어리석은 주인영감의 교활하고 약삭빠른 하인에 불과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실수 투성이의 바보 스러운 하인이었지만 그는 곡예에 능통하고 무대 위를 분주히 드나들면서 갑자기 불쑥 나왔다가는 관객이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곳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그가 무대 위에서 구르고, 떨어지고 춤을 추는 것이 관객에게 즐거움과 유쾌함을 더해주었다.
He is patient and faithful. He is always in love and always in trouble. He even shoulders the troubles of his master. But even though sorrow befall him, like an overgrown child he is easily consoled. And his grief is as amusing as his joy. He is agile of body. It was not unusual for him to receive a compliment or a favor with an eccentric dance or somersault.
Brighella는 Harleguin과 같은 Bergamo 출신으로 그는 같은 하인이었지만 잔인한 면이 그의 성격 속에 나타난다. 풍자적 인물로 매사에 거리낌이 없고, 정직하지 못했으며 세속적이었다. 그는 극중에서 언제나 주저함이 없고 양심이 없는 악한 인물로 부각되었다.
When between the folds of the curtain there stealthily appears a pair of piercing eyes, a rarified beard pointing slightly upward, and olive-colored mask, the whole forming a cynical ensemble, the love duo of Flavio and isabella comes abruptly to an and. That fear-inspiring face is that of Brighella.
그 외에도 허세 잘 부리고 항상 떠벌리는 인물로 Scaramuccia, 무식하고 저속하고 고지식한 인물의 Pedrolino, 부랑자로 그의 우둔함은 그 자신뿐만 아니라 주인에게까지 피해를 입히는 Pulcinella 등 많은 희극적 인물들이 Commedia의 직업적인 배우들의 노력한 연기 술과 그들의 부단한 창의력의 발휘로 대중 속에 공감을 불러 일으키고 성장되어 갔다.
Ⅲ. Commedia Dell'arte의 의상
의상(Costume)과 가면(mask)은 신체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신체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숨기게도 한다.
무대의상은 토착적인 의상과는 분명히 다르며 토착적인 의상은 국가, 종교, 사회 등 여러 인습에 의해서 개발되고 만들어지지만 무대의상은 그렇지 않다. 특히 공연예술인 연극에서 이 두 가지가 자주 혼돈 속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독일의 Bauhaus 디자인 학교의 스텝이었던 Schlemmer는 그의 논문 "Man and Art Figure"에서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Great as has been the variety of natiue costumes developed during the course of human history, the number of genuine stage costume has stayed very small. They are the few standardixed costumes of the commedia dell'arte ; Harleguin, Pieurot, Columbine, ete. ; and they have remained basic and authentic to this day.
무대미술(장치, 의상을 포함해서)이 관객에게 극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무대공간 속의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Commedia에서는 배경(장치)이 큰 몫을 차지하지 못하는 반면 의상이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보겠다.
일반적으로 무대의상은 그 사용의 목적이 연기자로 하여금 자기가 맡은 배역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어야 하며 배역의 성격을 강조하고 극의 분위기나 스타일에 대한 강조로 다른 배역과의 구별로 관객의 상상력발휘를 위한 심리적 효과 등으로 뚜렷이 나타나야 할 것이다. 무대의상의 측면에서 본 Commedia 의 특성은 배우의 의상과 가면이 그 인물을 지칭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고 등장인물 중에 젊은 연인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가면을 사용하고 있다.
배우가 자신의 배역(인물)과 의상을 선택하거나 준비하는 점, 관객의 인기를 노리지 않는 인물들 - 여자하인과 연인들을 제외한 인물들이 자기 출신고장 고유의 의상을 입고 등장한다는 것이 흥미롭다.
Pantalone의 의상은 태 없는 적은 모자에다 붉은 색의 조끼와 무릎까지 오는 바지에다 목이 긴 양말에 Turkish 슬리퍼를 신었다. 또한 소매 끝이 넓은 검정 색 코트를 걸치고 황색가면에 갈고리 모양의 큰 코와 회색수염의 모습이 곧 바로 그를 연상하게 된다.
Dottore는 검정 색의 학위 가운(깃과 소매는 흰색)과 모자를 썼고 얼굴은 검은 가면으로 절반이나 가린 채, 가끔 주머니에서 대형의 흰 손수건을 불쑥 꺼낸다.
Capitono는 스페인 군인으로 다분히 해학적인 용모이다. 긴칼을 허리에 차고 망토를 걸치고 긴 깃털이 달린 헐렁한 모자를 썼다. 사납게 보이려는 콧수염, 코가 긴 가면을 쓰고 역전의 군인으로서의 희극 성을 보인다. 연인들은 가면도 쓰지 않고 그 시대일상의 옷을 입고 무대에 나타난다.
Zanni (하인)들 중에서 Arlecchino (뒤에 Harloguin)는 삼각형이나 다이아몬드형의 헝겊조각을 붙여만든 화려한 색깔의 의상이 특징인데 이것은 현대까지도 전해 내려오는 어릿광대의 선형적인 의상으로 애용되고 있다.
Brighella는 가랑이가 넓은 바지에다 짧은 저고리, 망토를 걸친다. 다른 하인들은 인물의 성격에 따라 적은 모자에다 굽이 없는 신발을 신었으나 인물에 따라서 과장해서 긴 깃털이 달린 큰 모자를 쓰고 등장하기도 했다.
Commedia의 의상은 그 색깔에 대한 설명을 찾기가 어렵다. 원색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 외에는 역시 인물의 개성에 맞고 그 인물이 어느 지방 출신인가에 더 관심을 가졌던 것 같다.
결국 Commedia에서는 의상과 배경(장치)이 배우를 위한 도구로 존재하는 것이 된다. 즉흥적인 배우의 연기만큼이나 창의의 표현으로서의 의상이 필요하고 존재할 따름이다.
Ⅳ. 맺 음 말
르네상스는 세속에 눈을 떠서 종교와 교회의 지배를 벗어나 인간중심의 인간의 욕망과 희열에 눈을 돌린 시기이다. 르네상스 이태리의 연극도 신고전주의, 이상의 확립, 새로운 무대미술과 극장건물의 개발, Commedia Dell'arte의 출현 등으로 황금기를 이루었다.
귀족들이 새 연극관객으로 등장하고 거대한 무대장치, 무대미술에서 원근법의 이용, 대극장의 건축, 화려한 무대의상 등 모든 것이 관객의 관심을 충족시킨 시기였지만 그와는 달리 일정한 전용극장이나 무대장치 없이 배우의 능력만으로 즉흥적으로 공연되는 떠돌이, 이동극단의 형태가 Commedia였다. 그러나 그들은 강한 직업의식과 집념으로 시간, 장소, 공간을 초월해서 누구에게나 공감을 얻을 수 있던 대중의, 서민의 연극으로 발전시켰다.
공연예술(Performing Cuts 또는 Drama가 아닌 Theatre의 의미로서)은 영원의 한 순간을 창조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한 순간은 꼭 같을 수도 없고 다시 오지도 않는다. 관객이 없는, 관객을 생각하지 않는 무대란 Drama 일뿐 Theatre는 아니다.
Commedia에서 즉흥적 (Impnovised)이라는 의미가 결코 준비 없는, 준비 안된 상태로서의 공연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ommedia에서 직업적인 배우들의 노련한 연기 술이란 자신들의 끊임없는 훈련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그것을 이룩하기 위해 심신의 단련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곡예에 능한 어릿광대의 훈련이나 신체적 묘기를 Zanni들이 보여 주는 것도 그 한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Commedia 배우들의 영향이 구라파 전역에 파급되어지고 받아들여진 것이 배우들이 보여 준 몸 동작의 강렬함과 세상사와 여러 가지 유형의 인간상을 그들의 풍부한 연기로 재 표현함으로서 관객이 설령 언어(대사)를 모르더라도 이해할 수 있고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Commedia가 연극에 부여한 가능성이다.
Commedia가 배우들의 극단이었으며 평생의 직업으로 선택한 직업배우들에 의해 이루어진 연극이라는 점, 배우 훈련의 방법으로, 연극사상처음 여배우의 위치가 굳혀졌다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대연극에서 Street Theatre(가두극장)와 직업극단(Professional Theatre)의 개념도 결국 Commedia에서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Commedia에서 등장인물의 풍장와 해학적인 면은 하나의 모델로서 많은 극장가들에 의해서 재창조되었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Commedia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나 그 스타일에 있어서, 너무 전통위주이고 바뀌어지지 않았다는 것과, 그 인물, 의상, 장치에 있어 큰 진전이나 변형이 없었던 부정적인 일면도 있다.
그러나 4세기가 지난 지금도 Commedia Dell'arte의 인물들은 연극의 요소로 연극 속에 용해되어 있고 그 공헌은 연극의 이상과 무한한 가능성으로 잠재하고 있다.
Footnotes
1. John Gassner, and Ralph G. Allen, Theatre and Drama in the Making p. 219.
2. Oscar G. Brockett, History of the Theatre, p. 178.
3. Kenneth Macgowan, and William Melnitz, The Living Stage, p. 106.
4. Sheldon Cheney, The Theatre, p. 228.
5. I.A. Schwartz, The Commedia Dell'Arte, p. 16.
6. Ibid.
7. Edmund Fuller, Apageant of Theatre, p. 104.
8. Cheney, The Theatre, p. 229.
9. Ibid.
10. Fuller, A Pageant of the Theatre p. 105.
11. Cheney, The Theatre, p. 229.
12. Peter Arnott, The Theatre in Its Time, p.199.
13. Schwartz, The Commedia Dill'Arte, p.24.
14. Fuller, A Pageant of the Theatre, p. 103.
15. Brockett, History of the Theatre, p. 179.
16. Ibid.
17. Allardyce Nicoll, Masks, Mines and Miracles, p. 242.
18. Brockett, History of the Theatre, p. 181.
19. Schwartz, The Commedia Dell'Arte, p. 28.
20. Arnott, The Theater in Its Time, p. 200.
21. Schwartz, The Commedia Dell'Arte, p. 19.
22. Sylven Barnet, Aspects of Drama, P. 202.
23. Schwartz, The Commedia Dell'Arte, p. 21.
24. Arnott, The Theater in Its Time, p. 204.
25. Oskar Schlemmer, "Man and Art Figure," The Theater of the Bauhaus, Middletown : Wesleyan University Press, p. 25.
26. Ibid.
27. Ibid.
28. Cheney, The Theatre, p. 228.
29. Toby cole, and Helen Krich Chinoy, Actors on Acting, p. 43.
30. Ibid.
31. Toby cole, and Helen Krich Chinoy, Actors on Acting, p. 43.
32. Ibid.
33. Ibid.
Bibliography
A'Amico, Silvio. "Toward a New Theatre in Italy," Theatre Arts XXXI (December, 1947), 63-66.
Arnott, Peter, The Theater in Its Time. Boston : Little, Brown, and Company, 1981.
Barnet, sylvan. Aspects of the Drama. Boston : Little, Brown, and Company, 1962.
Brockett, Oscar G. History of the Theatre (Fourth Edition) Boston : Allyn and Bacon, Inc., 1982.
Cole, Toby, and Chinoy, Helen Krich Actors on Acting. New York : Crown Publishers, Inc., 1965.
Cheney, Sheldon. The Theatre. New York : Longmans, Green & Co., 1929.
Dean, Alexander, and Carra, Lawrence. Fundamentals of Play Directing.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65.
Fuller, Edmund. Apageant of the Theatre. New York : Thomas Y. Crowell Co., 1941.
Gassner, John, and Allen, Ralph G. Theatre and Drama in the Making. Boston : Houghton Mifflin Co., 1964.
Hartnoll, Phyllis, The Oxford Companion to the Theatre.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MacClintock, Lander. The Contemporary Drama of Italy. Boston : Little, Brown, & Co., 1920.
Mrcgowan, Kenneth, and melnitz, Willian. The Living Stage. New Jersey : Prentice Hall, 1960.
Nicoll, Allardyce. Masks, Mimes and Miracles. London : George g. Harrap and Company Limited, 1931.
Samachson, Dorothy and Joseph. The Dramatic Story of the Theatre. New York : Abelard-Schuman, 1955.
Schwartz, I. A. The Commedia Dell'arte. Paris : Librarie H. Samuel, 1933.
Stevens, Thomas Wood. The Theatre From Athens to Broadway. New York : D. Appleton & Co., 1932.
Wikes, Thomas. Ageneral View of the Stage. London : Paternofter Row,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