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tionary1

관리자 0 2019.06.12 1,287 Middle Age

파르스 farce

 

해학을 기발하게 표현하여 관객을 웃길 목적으로 지은 비속한 연극. 초기 그리스 연극에서 동질성을 발견할 수는 있지만, [메스트르 피에르 파트랭 Maistre Pierre Pathelin] 등 중세 도덕극의 막간극으로부터 발달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17세기의 프랑스에서 유행, 몰리에르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독특한 연극형태로 발전 짤막한 1막 풍자극이 되었다. 과장된 표현, 엉터리 소동, 노골적인 농담, 개그, 슬랩스틱, 우연성, 황당무계함 등이 그 특징이다. 간혹 위트, 풍자, 성격의 해학성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들이 단독으로 전체를 구성하는 수도 있다.

셰익스피어의 [실수연발 Comedy of Errors](1592-1593)은 순수한 파르스이며, 셰리던의 [戀敵 The Rivals](1775)은 희극의 고급요소와 파르스의 혼합물이다. 현재 전래되고 있는 파르스는 19세기의 프랑스에서 시작된 것으로 유추되며, 이는 희극과는 구별되어 해학극으로 발전하였다.

그 유명한 [알드위치 파르스]의 본고장이 되었다. 아울러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런던인물구현의 교묘함보다는 물리적인 행동과 플롯의 역학작용(신분의 오해, 벽장에 숨은 연인들 등)으로써 웃음을 유발한다. 19세기 프랑스 파르스의 대가는 라비셰와 페이도였다. 영국에는 현재에도 이것이 널리 공연되고 있어, 양대전 사이에 알드위치 디어트는 에서는 릭스가 파르스의 대표자 중 하나로 활약하였다. 笑劇.

 

 

 

 

[연극사전], 문예진흥원

 

 

 

파르스 (프랑스) farce (France)

 

파르스는 프랑스의 사육제 넌센스극에서 시작된다. 현존하는 가장 오랜 대본은 16세기의 것이나 14-5세기에는 이미 매우 활발해졌다. 일반적으로 간소하고 장치가 없는 무대를 광장이나 옥내의 홀에 설치하고 사람들은 대개 가면들을 쓰고 등장한다. 주체자는 거의가 바보라고 불리는 동업단체이다.

아비뇽에서는 학생의 파르스배우가 인기를 모아 수공업의 기능공과 겨뤘다고 한다. 그리고 유명한 작자불명의 [빠뜨랑 선생]1465년에 르왕에서 초연되고 15세기 말까지는 25회나 판을 거듭했고 오늘날까지 상연되고 있는 넌센스극이다. 유명한 것으로는 1512년에 파리에서 상연된 [바보왕자]이다.

네덜란드의 소테르니엔, 또는 쿠르프텐이라고 불리는 희극의 주요 테마(남녀의 싸움, 가정소동,간통)는 프랑스의 파르스나 독일의 사육제극와 공통되고 있다.

 

 

 

 

[대세계백과사전] 16 예능, 태극출판사

 

 

 

 

사육제극 (독일어권) 謝肉祭劇 (獨逸語圈)

 

독일어권의 사육제극은 그 어원(FasenachtFas는 결실, 性器를 나타낸다)이 나타내듯이 주술, 제의를 기원으로 한다. 뉘른베르크에서는 한 무리의 연극 패거리가 집집에 몰려 다니며 그곳의 의자나 책상을 사용해서 일장의 넌센스극을 벌리고는 집집마다 돌아가며 그것을 되풀이한다. 스위스나 그밖의 독일어권 알프스 지역에서는 이와같은 실내극 이외에 때로는 수레무대를 사용하는 야외극도 있었다. 이탈리아의 꼬메디아 델 아르떼나 영국의 코메디언 등 근대 최초의 직업배우의 선배인 중세의 곡예사, 街頭예능인들도 그런 나름으로 고대 마임극의 전통을 후세에 전하는데 한 구실을 담당했다.

 

 

 

 

[대세계백과사전] 16 예능, 태극출판사

 

 

 

 

보드빌 vaudeville

 

원래 풍자적인 대중가요를 의미하던 용어로 이러한 가요가 발생한 노르망디 지역에서 Vai-(Vau)-de-Vire로 부터 파생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후 점차 코메디 프랑세스의 本格劇의 독점성을 만회하기 위해 순회극단에서 제작하던 가벼운 뮤지컬을 지칭하게 되었다.

18세기까지 발라드가 삽입된 가벼운 희극으로서 프랑스, 오스트리아, 기타 여러 곳에서 유행하였다. 19세기 중엽, 이 용어가 미국에서 영국의 뮤직홀에 상응하는 뜻으로 사용된 것은 대중가요를 이에 첨부하면서부터의 일로, 대중인기가요에 토막극과 기타 버라이어티적 요소 등을 첨부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미국식 보드빌은 19세기 후반에 미국에서 크게 유행, 대사업으로 번창하여 윌리엄즈 케이트 등은 다수의 버라이어티 극장 흥행 체인을 조직했다. 활동사진이 발명된 초기에는 보드빌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일부로 편성되었으나 점차 보드빌을 능가하게 되었고, 라디오, 텔레비젼의 출현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되었다.

 

 

 

 

[연극사전], 문예진흥원

 

 

 

 

vaudeville 보드빌

 

출연진의 각 멤버들이 자신의 장기를 연기/연주하는 민스트럴 쇼의 올리오 부분에서 유래된 희가극을 뜻한다. 보드빌은 여러개의 잡다한 단막으로 이뤄지며 통상적으로 곡예와 함께 시작되고 출연자들이 노래와 춤, 재담, 그리고 가끔은 축소된 드라마를 공연하는 쇼였다. 보드(Vaude)'버라이어티'의 용어로서 '희극'을 뜻하는 말로 1905년부터 192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그 당시 미국의 극장들은 '케이드-오피엄 서큐트''마커스 로우 서큐트' 등과 같이 체인을 맺고 있었고, 연예인들은 보통 한 극장에서 1주간동안 출연하며 전국의 도시들을 순회하엿다. 이 시대에는 음악출판업자들이 벨 베이커(Belle Baker,1895-1957)나 패니 브라이스(Fanny Brice,1891-1951)와 같은 싱어들에게 선심을 쓰며 호의를 사려고 했는데, 그것은 그들이 전국을 순회하면서 하나의 이름없는 곡을 히트로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엇다. 케이트-오피엄 서큐트에서 최고 수준의 극장은 뉴욕시에 있는 '팰리스 시어터'여쓴데, 그곳은 도한 보드빌의 '타지 마할'이기도 했다. 유성영화가 출연하자 보드빌 극장들은 12회 상연에서 연속상연으로 운영패턴을 바꿨고 매회 상연마다 영화 관람을 앞세우게 되었다. 1928년에 이르러서는 영화의 상영없이 보드빌만 공연하는 극장은 전국에 4개 밖에 없게 되었다. 더우기 라디오는 보드빌에 치명타를 안겨 주엇다. 1932년 가을에는 팰리스극장마저도 영화에 투자하였고 193211월에는 전적으로 영화만 상영하는 극장으로 변하여 보드빌 시대의 종말을 고하게 되었다. 1916년까지만 해도 보드빌은 전국에 산재한 1700여개의 극장을 통해서 주당 2만의 단막극이 상연되는 규모였다. 그러나 1932년에 이르러서는 그 수가 한 손으로 셀 수 있는 정도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0년대에 이르기까지도 실연하는 무대 쇼가 영화개봉관들인 캐피톨 시어터, 파라마운트, 록시, 그리고 뉴욕시의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등의 대형 영화관에서 특색을 이루며 공연되었다. 나중에는 버라이어티나 보드빌의 형태가 텔레비젼의 인기프로인 '에드 설리반 쇼'에서 회전무대를 통해 향수적으로 표현되었다.

 

 

(payola;Radio City Music Hall란 참조)

 

 

[파퓰러음악용어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VAUDEVILLE(French)

 

A word witch has had a succession of meanings:

(1) Songs of satirical content, originated by a certain Olivier Basselin de

Vire(d.c.14520)and called Vaux(valleys)de Vire ;

(2) Verse inserted into the spoken drama, set to well-known tunes and also to

newly-composed music. This practice was comon in France during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and led directly to

(3) Plays witch were themselves called vaudevilles, including parodies of operas,

popula pieces entirely in verse, etc. These were the French counterparts of the

English "Beggar's Opera" and German Singspiel ;

(4) Vaudeville today is synonymous with"music hall,"or a series of short sketches

by various performers, with or without music.

 

variety 버라이어티

 

민스트럴 쇼가 보드빌로 발전하게 되었을 때 보드빌을 일컫던 말. 이 말이 사용되던 시기는 '버라이어티'라고 하는 출판물이 발행되었던 1905년 경으로 유추된다.

- [파퓰러음악용어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

 

버라이어티 variety

 

노래, 곡예, 토막극 등이 그 순서와 횟수에서 다양하게 구성된 혼합연예.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버라이어티가 뮤직홀에서, 미국에서는 보드빌이나 벌레스크 하우스에서 공연되었다. 이것은 미국 신문의 이름이기도 하다.

- [연극사전], 문예진흥원 -

 

演劇史 장한기 저 신아출판사, 1975, p.76-85 

목록보기 좋아요 (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코메디 도서관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6 Middle Age

[Middle Age] Article 0

관리자 2019-06-12 0

관리자 2019-06-12 1,738 HIT
5 Middle Age

[Middle Age] Book 3 0

관리자 2019-06-12 0

관리자 2019-06-12 1,540 HIT
4 Middle Age

[Middle Age] Book 2 0

관리자 2019-06-12 0

관리자 2019-06-12 1,640 HIT
3 Middle Age

[Middle Age] Book 1 0

관리자 2019-06-12 0

관리자 2019-06-12 1,239 HIT
2 Middle Age

[Middle Age] Dictionary2 0

관리자 2019-06-12 0

관리자 2019-06-12 1,256 HIT
1 Middle Age

[Middle Age] Dictionary1 0

관리자 2019-06-12 0

관리자 2019-06-12 1,288 HIT

인천 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시리미로207번길 8-11
23039
wagonstage92@naver.com